본문 바로가기

경제이슈

CDS와 CDS프리미엄이란?

CDS와 CDS프리미엄이란?


CDS는 신용부도스왑(Credit Default Swap)의 약자인데요, 이때 CDS프리미엄은 일종의 보험료라는 개념으로 이해하시면 빠를 것 같습니다. 국내 개인투자자에게는 다소 생소할수도 있지만, 국제 금융시장에서는 금융거래의 채무 불이행 위험을 커버하기 위해서 널리 사용되는 파생상품이랍니다.
 
 
먼저, 재밌는 만화를 하나 볼게요!
조선일보에 연재된 정갑영 교수의 '알콩달콩 시사경제' <110> CDS프리미엄 입니다.
(출처: 네이버)








어때요? CDS가 어떤 것인지 감이 잡히셨나요?
 
 
  CDS는 대출 또는 채권 형태로 자금을 조달한 채무자의 신용위험을 별도로 분리해 이를 시장에서 거래하는 금융파생상품의 일종입니다. 은행 등 금융기관이 제3의 기관과 계약을 체결하고 보험료 성격의 CDS 프리미엄을 CDS 발행자에게 지불하면 해당 채권이 부도가 날 경우 원금을 돌려 받을 수 있게 됩니다. 
   즉, 대출이나 채권 투자에 부도, 파산, 지급불이행 등 신용자산의 가치가 감소하는 위험이 발생하는 것을 다른 투자자가 대신 보상해주는 것으로, 돈을 돌려받지 못할 위험과 보험료 (CDS프리미엄)을 서로 교환하는 것이지요.
 
 
이해를 돕기 위해서 CDS거래 개념도를 살펴볼게요!
 

 
 
(출처: 네이버)
 
 
  CDS거래에서 발생하는 수수료인 CDS 프리미엄은 분기별로 지급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bp(basis point)라는 단위가 쓰입니다. 이때 1bp는 0.01%입니다.  수수료인 CDS 프리미엄은 손해보험에 가입할 때 사고가 일어날 확률이 높을수록 보험료가 비싸지는 것처럼 채권의 발행한 기관이나 국가의 신용위험도가 높아질수록 CDS프리미엄은 상승한다. 따라서,  CDS 프리미엄이 높아졌다는 것은 국가 신용도가 나빠져 국외채권을 발행할 때 비용이 많이 든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CDS는 장외시장에서 거래되는 것으로 제한적인 거래량에 의해 가격이 형성되고, 따라서 투기세력들의 공략대상이 되기 쉽기 때문에 가격의 대표성을 인정받기는 쉽지 않은 측면이 있습니다. 이에 따라 CDS는 그 가격의 객관성 측면에서 평가절하되기도 한답니다.
 
또한 CDS물량이 갑자기 한 번에 많이 쏟아져 나오면 자금조달에 있어서 어려움을 겪을 수 있는데요. 이것과 관련된 가장 유명한 예가 '2008년 서브프라임 모기지론 사태'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