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연방전부폐쇄, 이루어질까?
미국 연방정부 폐쇄가 없었던 것은 아닙니다. 1970년 이후 17차례나 연방정부가 일시 폐쇄되는 사태가 일어났었습니다. 임시직 공무원들의 무급휴가로 인하여 행정이 거의 마비되는 상황이 벌어지게 되고 공원,쓰레기처리,버스운행 등도 운영에 큰 차질을 빗게 됩니다.
그런데 근간에 가장 컸던 연방정부폐쇄는 1995년 클린턴 대통령 재임시기였습니다.
1995년 11월 13일~19일 5일간 1차로 연방정부 폐쇄가 일어나 80만명의 연방 직원들이 무급휴가를 갔어야했으며 같은 해, 1995년 12월 15일~1996년 1월 6일사이 21일간 또 다시 연방정부가 폐쇄 되게 됩니다.
실질적인 대치기간을 강안하여 1995년 11월~1996년 3월까지 4개월간 연방정부가 폐쇄되었던 것으로 역사는 기록하고 있습니다.
아이러니 하게도 그 기간동안 미국의 S&P500지수는 10%가까운 상승을 보이게 됩니다.
<<1995년 미국 연방정부 폐쇄 당시 1995년 11월~96년 3월까지 상승장이 이어지다>>
어찌보면, 클린턴 대통령 시절이 경기호황시절이었기 때문에, 주가지수가 연방정부폐쇄의 영향을 받지 않았을 가능성이 큽니다.
그렇다면, 그 이전에 연방정부 폐쇄되었던 1970년 이후 1995년까지의 미국 S&P500지수의 흐름은 어떠했을까요?
<<1970년 이후 연방정부 폐쇄기간 S&P500지수 등락률>>
1970년 이후 연방정부가 폐쇄된 가간의 S&P500지수의 등락률을 조사하여 보았습니다.
폐쇄기간이 글었던 시기는 95년 12월부터 21일간이 가장 길었으며, 하루정도로 그친 시기도 4번 있었습니다.
그 시기의 주가 등락률을 보게 되면 평균 -0.78%로 어느정도 주가지수 하락이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통계치로는 17번 중 9번의 연방정부폐쇄기간 S&P500지수가 하락했는데, 그렇게 절대적인 확률은 아니었습니다.
오히려 그 시기 즈음의 증시의 분위기에 큰 영향을 받을 것으로 보여지는데, 70년대 후반에 조정/횡보장에서는 큰 폭의 S&P500지수의 하락, 80년대~90년대의 상승장에서는 하락보다는 상승의 케이스가 많았습니다.
즉, 연방정부 폐쇄건은 미국증시에 결정적인 변수라기 보다는 증시 분위기에 따라 반응하게 되는 심리적 변수일 가능성이 높다고 볼 수 있을 것입니다.
'경제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정의 의미는 단기 급등에 따른 수익실현과 숨고르기 (0) | 2013.10.04 |
---|---|
셧다운 사흘째 돌입, 폐쇄에 따른 불확실성이 계속 (0) | 2013.10.04 |
대여계좌업체 운영한 사장님이 본 개인들 선물옵션 매매패턴 (3) | 2013.09.27 |
사상최초의 여성 연준의장이 될 자넷옐런 (0) | 2013.09.27 |
2013년 3분기까지 선물옵션 수렴패턴으로 진행 (0) | 2013.09.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