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동성지수라고 불리는 VIX 지수를 가지고
미국시장 분석에 참고하는 방법을
포스팅해보려고 합니다.
VIX 지수는 미국시장의
투자심리를 확인할 수 있는 보조지표라고
생각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그럼 VIX에 대해 본격적으로 알아보겠습니다.
VIX지수는 미국 S&P500 지수의 옵션으로서
향후 한 달간 지수의 변동성이 얼마나 될지
투자심리를 추측해보는 지수입니다.
그러니까, VIX 수치가 30에 있으면
30일간 약 30% 정도 등락을 할 것이라고
예상하는 투자자가 많은 것입니다.
보통 변동성이 확대된다는 것은
투자자의 심리가 불안하다는 것이지요~
그래서 VIX 지수를
변동성지수(Volatility Index) 또는
공포지수(Fear Index)라고 부릅니다.
일반적으로 이 VIX는 미국증시와
반대로 가는 경향이 있습니다.
위의 이미지는 모체가 되는
S&P500 지수, 그리고 옵션 VIX를
나란히 비교해 본 것입니다.
VIX 지수는 보통 20~30 사이에 위치해
있을 때 안정적인 흐름을 유지합니다.
그러다가, VIX 수치가 40 이상으로
올라가게 되면, 큰 악재를 만난 것이고...
투자자의 공포가 심해져서
과매도 국면에 진입하는 것입니다.
반대로, 이 VIX 지수가 10 정도로
떨어지게 되면 과매수로써
이제 곧 변동성이 한번쯤 나타나게
된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VIX지수보는곳은 위와 같습니다.
위의 링크를 통해서 VIX를 확인해보세요~
최근 코로나 및 오일전쟁으로
VIX지수가 급등한 것을 확인할수 있는데요
실제로 나스닥과 다우 등
전세계 지수가 크게 하락했다는것처럼
VIX지수를 미국시장과 그 외의 해외시장을 분석하는데
참고할 수 있는 것입니다.
'선물옵션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융투자교육원 사전교육 강의 듣는 중입니다 (0) | 2020.03.19 |
---|---|
ADR 지표 이용해서 주가지수 바닥 찾는 방법 (0) | 2020.03.19 |
유안타증권 선물옵션 계좌개설하기 (0) | 2020.03.18 |
월스트리트 저널의 투자원칙 20가지 (0) | 2020.03.18 |
여의도 금융투자교육원 리더스홀 파생투자 강연회 후기 (0) | 2020.03.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