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이슈

ECB 부양책에 따른 유럽계 순매수가 코스피상승 이끌어

한 달 동안 주가, 유가, 신흥국 통화 강세 지속
 
주가가 상승했다. 한 달 전만 해도 박스권 붕괴를 걱정해야 할 정도였는데 벌써 2000이 됐다. 
 
이런 변화의 이면에는 세 개의 동력이 작용했다. 
 
우선 반등이다. 
 
올해는 주식은 물론 원자재, 환율까지 모두가 불안정하게 시작됐다. 하락 폭이 커짐에 따라 투자자들은 저점이 확보되면 빠르게 회복될 거라 기대했는데 이런 상황이 벌어진 것이다. 유가가 한 달 사이에 저점 대비 50% 이상 올라 배럴당 40달러가 됐다. 1,250원에 육박하던 원/달러 환율 역시 1,150원대까지 내려왔다. 브라질, 러시아 등 문제가 있다고 여겨지던 신흥국의 통화가 특히 강세를 기록했다. 비슷한 모습이 주식시장에서도 나타났는데 두 나라 주가가 연초 이후 각각 17%와 8% 올랐다. 많은 가격 변수들이 시장의 불안이 시작됐던 시점을 넘어 연중 최고 수준까지 올라왔다. 반등에는 두 개의 원칙이 적용된다. 하나는 하락이 클수록 상승도 크다는 점이고 다른 하나는 가격이 오를수록 힘이 약해진다는 사실이다. 이미 첫 번째는 완성됐다. 지금은 두 번째 변화가 진행 중이다.

 


외국인 매수도 역할을 했다. 2월 18일에 외국인이 처음 주식을 순매수하기 시작한 이후 한 달 동안 순매수 금액이 3조를 넘었다. 주가가 낮은 데다, 장기간에 걸쳐 순매도가 계속된 직후여서 외국인이 매수로 돌아섰다는 사실만으로도 주가가 상승할 수 있었다. 
 


앞으로는 외국인 매수가 시장을 움직일 정도로 유입되기 힘들 뿐 아니라 유입된다 해도 주가를 움직이기 힘들 것이다. 수급은 매수에도 매도로, 혹은 매도에서 매수로 바뀌는 시점에 가장 큰 영향력을 발휘한 후 시간이 갈수록 힘이 약해지는 게 일반적이다. 예외가 되려면 매수 규모가 대단히 크던지, 아니면 매일 매일 매수량이 늘어나야 한다. 지금은 그런 상황이 아니다. 외국인 매수가 한창이던 2002~2003년 사이에 석 달 동안 시가총액의 3%에 해당하는 순매수가 들어온 적이 있다. 결과는 순매수가 진행되는 동안에 15%가량 주가가 상승했지만 매수가 끝난 후 얼마 지나지 않아 다시 원상태로 돌아왔다. 석 달간 시가총액 3%를 지금으로 환산하면 하루 6,000억에 해당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