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제조업 지수가 호조를 보이면서 원·달러 환율이 사흘째 하락했다. 호주 중앙은행이 예상 밖으로 금리를 동결한 것도 하락 압력을 가했다.
3일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날보다 6.1원(0.54%) 밀린 1121.8원에 장을 마쳤다.
지난밤 발표된 미국의 3월 공급관리협회(ISM) 제조업지수는 53.4를 기록, 전문가 예상치 53.0을 웃돈 것으로 나타나면서 경기 회복세를 재확인시켰다. 앞서 지난 1일 나온 중국 제조업-구매관리자지수(PMI)도 4개월 연속 기준치인 50을 넘으며 경기 확장국면을 가리킨 데 이어 주요국가 제조업이 잇달아 호조를 보인 것이다.
유로존의 3월 PMI가 47.7을 기록하고 2월 실업률도 10.8%로 14년 만의 최고치를 기록하며 낙폭은 제한적일 것이란 우려가 나오기도 했다. 하지만 호주 중앙은행이 예상 밖으로 기준금리를 4개월 연속 4.25%에 동결하면서 하락 압력은 가중됐다.
외환 관계자는 "미·중 등 주요국의 제조업 호조세와 우리나라 증시의 상승 영향으로 환율이 하락 압력이 강하게 나왔다"며 "호주 기준금리가 인하되면 환율은 단기적으로 상승 압박을 받았을 것이나 동결로 결론나면서 달러 매물이 쏟아졌다"고 분석했다.
한편 코스피는 전날보다 19.99포인트(0.99%) 오른 2049.28, 코스닥은 5.97포인트(1.14%) 밀린 515.83에 장을 마쳤다. 외국인은 유가증권시장에서 2485억원 순매수한 반면 코스닥시장에선 104억원 순매도했다.
3일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날보다 6.1원(0.54%) 밀린 1121.8원에 장을 마쳤다.
지난밤 발표된 미국의 3월 공급관리협회(ISM) 제조업지수는 53.4를 기록, 전문가 예상치 53.0을 웃돈 것으로 나타나면서 경기 회복세를 재확인시켰다. 앞서 지난 1일 나온 중국 제조업-구매관리자지수(PMI)도 4개월 연속 기준치인 50을 넘으며 경기 확장국면을 가리킨 데 이어 주요국가 제조업이 잇달아 호조를 보인 것이다.
유로존의 3월 PMI가 47.7을 기록하고 2월 실업률도 10.8%로 14년 만의 최고치를 기록하며 낙폭은 제한적일 것이란 우려가 나오기도 했다. 하지만 호주 중앙은행이 예상 밖으로 기준금리를 4개월 연속 4.25%에 동결하면서 하락 압력은 가중됐다.
외환 관계자는 "미·중 등 주요국의 제조업 호조세와 우리나라 증시의 상승 영향으로 환율이 하락 압력이 강하게 나왔다"며 "호주 기준금리가 인하되면 환율은 단기적으로 상승 압박을 받았을 것이나 동결로 결론나면서 달러 매물이 쏟아졌다"고 분석했다.
한편 코스피는 전날보다 19.99포인트(0.99%) 오른 2049.28, 코스닥은 5.97포인트(1.14%) 밀린 515.83에 장을 마쳤다. 외국인은 유가증권시장에서 2485억원 순매수한 반면 코스닥시장에선 104억원 순매도했다.
'경제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선물옵션 시장은 한계가 있다 (0) | 2012.04.06 |
---|---|
미국시장에 집중을 하자 (1) | 2012.04.06 |
선물옵션 지표는 엇갈리고 유동성은 출렁이고... (0) | 2012.03.23 |
급락은 선물매수의 기회로 (0) | 2012.03.23 |
양적완화의 후폭풍 (0) | 2012.03.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