밸류에이션 매력높다는 의미??
시가총액과 영업이익이 얼마가 나와야 할까?
시가총액은 주식총수량 * 당일종가 이렇게 산정되고 있습니다.
시가총액 한 가지만 가지고도 현대ep가 속한 업종내 경쟁사등과 비교할 수도 있고 자산가치와 비교할 수도 있는으나 우리가 사고 파는 것이 기업이 아니고 "증권" 이라는 종이입니다.
주식이라고 하는 이 증권이 1개에 얼마다라는 것이 "종가"이구요.
밸류에이션이란 어떤 식으로든 현재 거래되는 주식의 종가가 적당한 것인지를 수치화하여 과거데이타와 비교를 하거나 여러가지로 비교 판단하여 기업가치를 따지는 것입니다.
가장 현실적인 것이 매출도 중요하지만 그에 걸맞는 이익이 발생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는 관점에서 영업이익과 시가총액을 비교하여 밸류에이션이 고평가다, 저평가다라는 시장기준이 생기게 되었습니다.
최근 기사중 좋은 예가 있어 첨부합니다.
기관들이 지난주 대거 팔아치웠던 에스엠과 와이지엔터테인먼트를 다시 사들이고 있다. 주가 급락으로 밸류에이션(실적 대비 주가 수준) 매력이 높아졌다는 점이 이유다. ‘파는’ 기관이 따로 있었고, 지금 ‘사들이는’ 기관이 따로 있다는 얘기로밖에 해석되지 않는다.
22일 코스닥시장에서 에스엠은 3.04% 오른 4만5700원에 거래를 마쳤다. 이틀째 3%대 상승이다. 지난주 기관의 코스닥시장 순매도 1위(1059억원)였던 에스엠은 이번주 들어선 순매수 3위(177억원)에 올랐다. 외국인도 이번주 109억원어치를 순매수했다.
와이지엔터는 지난 21일 기관이 45억원을 사들이며 5.09% 올랐다. 이날은 소폭(3억원) 순매도하며 2.50% 하락했다. 대신 외국인이 최근 7일 연속 순매수 중이다.
기관의 순매수 전환은 주가 하락이 과도했다는 인식 때문이다. 한 자산운용사 펀드매니저는 “기관들이 어떤 종목을 저점 매수하는 것은 밸류에이션 매력이 높아졌거나 단기 반등을 노리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한국경제)
보시는 것처럼 시가총액 / 영업이익의 비율을 가지고 비슷한 업종의 종목과 비교할 때 객관적판단이 용이합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밸류에이션의 적정비율을 20%로 판단하고 있으며 위의 표를 보시면 에스엠과 파라다이스는 "저평가" 되었다고 이야기 할 수 있는 것입니다.
현대EP의 전일종가 기준 시가총액이 1489억 이며 작년 영업이익이 261억 이었으므로 작년 영업이익 대비 현재 주가는 20%를 기준으로 할 때 5.7% 밖에 되지 않으므로 완전 바겐세일 중이라고 생각됩니다.
올 해 기준으로 보면 상반기 109억 3분기 71억 4분기는 잠정수치로 봐야 하는데 50억 잡아도 200억은 넘습니다.
또 다른 관점으로 2011년 매출이 6282억 인데 시가총액은 1483억 이라는 것도 밸류에이션 관점으로 볼 때 저평가인 것이죠.
60억 매출에 연 20억의 순이익이 남는 슈퍼가 15억에 매물로 나왔다면 어떤이유(모든)인지 몰라도 순익만 놓고 보면 작년에도 올해도 20억을 남겼으니 15억에 매입해서 1년만 잘 유지하면 본전 뽑고도 5억 남습니다.
또, 15억이 다 들어가는 것도 아니고 담보로 10억 빼면 5억이면 된다는 것이고 주식으로 치면 30%만 가지고 있으면 대주주이고 사장할 수 있으니 500억만 있으면 연 6천억 매출과 연200억 순이익내는 회사 꿀꺽할 수 있다는 것이죠.
글 쓰는 재주가 없어서 비유가 맞을 지는 모르겠습니다. 개인투자자는 이정도 개념만 알 고 있어도 충분하지 싶습니다.
결론적으로 "현대ep는 부도 안난다면 시장에서 재평가를 받을 것이고 주가도 지금보다 3배는 올라갈 수 있다"
이렇게 이야기 해도 과언이 아닐 것입니다. 그러나 이런 관점만 가지고 장기투자 한다면 2011년 최고가 10350원에서도 지금보다 두 배는 비싼 가격이지만 위와 같은 관점에서 저평가 되었다고 말하는 사람들이 있었다는 것입니다.
또 다른 관점으로 2008년 최저가 1105원 이었는데 당시 영업이익이 75억이었습니다. 평균단가 2천원잡고
2008년 매출 2천억, 영업이익 70억, 주가 2천원
2012년 매출 6천억, 영업이익 200억, 주가 5천원 이렇게 비교해 볼 수도 있습니다. ( 직접 계산해 보세요. )
'경제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문재인,안철수 tv토론을 보고 실망을 넘어서.. (0) | 2012.11.23 |
---|---|
주식시장은 개방된 곳이고 항상 문전성시를 이루는 곳이 주식시장 (0) | 2012.11.23 |
IMF사태 발생배경과 그 이후 (1) | 2012.11.22 |
정부 파생거래세 추진 (내년or2016년) (0) | 2012.11.22 |
악재가 소멸되어 가고 있다 (0) | 2012.11.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