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시 3대 체크 포인트
-------------------
1. 유럽 위기 수습여부
2. 중국 경기 부양 정책
3. 2분기 국내기업실적시즌
1. 유럽 위기 수습여부
---------------------
6월29일 EU정상회의에서 스페인에 대한 특혜로 전세계증시 급등. 바닥탈출.바닥확인.
7월초 출범 예정인 ESM 의 규모가 EFSF 의 두배인 5000 억유로. 7월8일쯤 출범예정.
( 출범일자 늦춰지는지 여부 확인. 단기악재)
1300억 유로의 성장협약에 대한 내용이 구체화 되는지.
7월5일(목) ECB 에서 금리인하. 또는 기타 대책이 나올지.(3차LTRO 가능성은 낮다)
2. 중국 경기 부양 정책
--------------------
13일(금) 발표될 중국 2분기 성장률이 8% 하회할 경우 악재 .
( 4월13일(금) 중국 GDP가 8.9-->8.1로 악화되자 한.미시장 장대음봉)
7월 중순 중국 수뇌부들이 모여서 비공개 회의를 한다. 베이다허 회의 / 경기부양책과 관련된 논의 나올지 관심
3. 2분기 국내기업실적시즌
--------------------------
7월 6일(금) 삼성전자 실적발표. 7조 전망에서 6조7천억으로 낮춰짐. 과연 실제치는얼마?
( 내생각엔 갤2 덕에 작년엔 호황이었지만 갤노트가 별루라서 이번엔 안좋게생각. 다만 다음9월엔 갤3효과 있을듯)
(문제는 갤3 다음에 가을에 갤노트2 와 아이폰5가 붙는다. 즉 12월이나 내년초에는 삼성전자 고전가능성크다)
(지금 삼성전자는 반도체.디스플레이.휴대폰 3계열중 휴대폰이 살린셈인데. 아이폰과 세계시장 양분한 덕에.
하지만 스마트폰의 보급화가 거의 다 되어간다는 시점에서 이제 시장에 공급과잉이 가까워졌다고 본다.)
( 삼성전자 이익이 반도체-->디스플레이-->휴대폰 으로 빠르게 진화했지만 다음에는??? 문제는 다음)
7월 1일 이후로 발표되는 중요 지표에 대해서 정리. ( 추가내용 수정할예정).
---------------------------------------------------------------------------------
7월 1일 오전10시 / 중국 PMI 제조업지수 ( 예상치가 49.9로 50 이하. -->12월1일 49 나왔지만 전날 대규모
중앙은행공조 호재로 인해 전세계증시 급등. 희한하게 어제와 같은결과. 지수영향크게없었음.
일주일간버티다 일주일내리고 다시 오름세로 전환)
7월 2일 오전 11시 30분 / 중국 HSBC제조업 수정치(최근 계속 50이하였기에 시장의 해석에 따라 방향결정될듯)
오전 11시 / 미국 ISM 제조업지수 (예상치가 52.1 로 낮게 잡았다. 작년 8.9.10.11월 수준. 예상보다 좋을경우 호재)
7월 3일 오후 1시30분 / 호주 기준금리 결정 ( 동결예상)
오후 5시 30분 / 영국 건설업 PMI (안정적추세)
7월 5일 오후 7시 / 독일 공장주문 ( 예상치 0.2% 기존 -1.9% 로 좋아질듯)
오후8시 / 영국 기준금리 결정.자산매입액 발표
오후 8시 45분 / ECB 최저입찰금리
오후 9시 15분/ 미국 ADP 고용변화율( 5월 2일 이후로 좋아질것으로 예상. 예상치를 101로 낮게잡아놨음)
오후 9시 30분 / ECB 기자회견 ( 어떤 경기부양책 나올지. 주목)
오후9시 30분 / 미국 신규실업수당 청구( 예상치높게 잡아서 예상보다 낮게 나올확률이 크다)
오후 11시 / 미국 ISM 비 지조업지수 ( 2.3.4월에 비하면 낮지만 예상치 부합으로 나올듯)
7월 6일 오후 9시 30분 / 미국 비농업부문 고용자 ( 69 ==> 92로 개선예상. 바닥찍고 턴?)
7월 9일 오전 10시 30분 / 중국 소비자 물가지수 ( 낮아지고 있으므로 경기부양책 써도 인플레 위험 적다고해석?)
7월 12일 오전 2시 / 미국 10년물 국채입찰
오전 3시 / 미국 FOMC 의사록 공개 ( 경기부양 의지 여부 / 7월 31일 있을 FOMC 회의 기대감여부)
일본 통화 및 중앙은행 기자회견 뉴스 체크
7월 13일 오전 11시 / 중국 실질 GDP
7월 16일 오후 9시 30분 / 미국 소매판매
엠파이어 제조업지수
7월 17일 오후 6시 / 독일/유럽/ 경기전망
오후9시30분 / 미국 소비자 물가지수
7월 18일 오후 9시 30분 / 미국 건축허가
7월 19일 오전 3시 / 미국 FED 베이지북
오후 11시 / 미국 신규실업수당,
기존주택판매,
필라델피아 연준 제조업지수
7월 24일 오전 11시 30분 / 중국 HSBC 제조업 PMI
오후 4시 / 프랑스 .독일. 유럽--> 제조업.서비스업 PMI
7월 26일 오후 9시 30분 / 미국 내구재 주문
오후 11시 / 미국 주택판매
7월 27일 오후 9시 30분 / 미국 GDP
7월 31일 FOMC 회의 일정
----------------------------------------------
나머지 회담 일정이나 미국채 발행 일정등 기타 일정은 추후 정리해서 올리기로 하고, 이정도선에서 살펴보면.
-------------------------------------
7월 첫 주는 목요일 5일. ECB 금리인하이슈 때까지는 상승으로 갈꺼같고,
만기주에는 재미없는 주로 흘러갈듯.
다만 만기 이후 금요일부터는 7월 31일 FOMC 회의를 압박하기 위한 하락이 다시 나오리라 생각함.
한국만기날까지는 일단 안전할지도,
하지만 만기날 밤에 미국 국채가 있다는 사실에 주간에 미선이 약하면 하락할지도
'경제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선물옵션시장, 매수장세가 올까?? (0) | 2012.07.09 |
---|---|
기관 외인 매도시 선물옵션은 무조건 하방 (0) | 2012.07.09 |
썸머랠리 가능성도 기대된다 (0) | 2012.07.03 |
아직까지 부족한 코스피시장수급 (1) | 2012.07.03 |
바닥과 상투를 알려주는 좋은 뉴스란? (0) | 2012.07.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