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이슈

선물옵션 수급 주체 현실점검

선물옵션 수급 주체 현실점검

 



지수에 대한 관점은 변한게 없습니다.


오늘의 주제는 메이져 수급에 대한 내용을 이야기 해 볼까 합니다.


외국인은 어제 오늘 거래소 시장에서만 7천3백억을 매도하며 지수 낙폭을 키웠습니다. 갑자기 라는 말 보다는 지난 4월초순부터 외국인들은 거래소 시장에서 매도를 하기 시작했고 이것은 단기 이익실현을 목적으로 지속적으로 매도를 하였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러나 혹자들은 외국인 매도 비중이 그렇게 크지 않다는 점을 들어 향후 주가방향을 긍정적으로 보기도 하지만 6월들어 외국인은 더 이상 이익실현중이지 않다는 것을 위의 차트를 통해 쉽게 알 수 있습니다.


기관의 경우 2011년 하반기 저점매수를 하였기에 외국인보다 더 낮은 가격을 유지 하고 있었으며 2012년 상반기 외국인의 매수에 대응하여 역시 단기 이익실현을 하였기에 최근의 매집은 별로 부담이 없다 하겠습니다.


 

 

파생시장을 보겠습니다.




위의 차트는 외국인의 거래소와 선물 시장의 수급상황입니다.


지난 5월 거래소 현물매도 과정에서 선물포지션이 적으나마 상방으로 유지 되었습니다. 그럼 지난주 부터 선물을 대량으로 매도하는 이유가 무엇일까요?


현물매도 물량이 적다고 간과하기에는 선물 매도 물량이 과하다는 생각입니다.




기관의 경우 외국인과는 반대로 현물과 선물 포지션을 모두 상방으로 잡고 있습니다.


시장이 단기 급락을 하고 있기는 하나 기관의 경우 아직 손익권이기에 큰 부담이 없어 보입니다.




그럼 향후 전개될 상황에 대해 두 가지 관점으로 생각해 보기로 하겟습니다.


만일 시장이 낙폭을 줄이고 상방향으로 턴이 된다고 할 경우


기관이 유리한 입장일 것이나 큰 실익은 없을 것입니다. ( 완전 대세 바닥이 아니라면)

외국인 또 한 시장이 상방으로 움직인다고 하면 선물을 매수하면 그만입니다.


반대로 시장이 추가 하락을 지속한다면?


기관의 경우 상당한 딜레마에 빠질 위험이 있습니다. 그렇기에 선물시장에서 적극적인 매수 포지션을 취하지는 못하고 있는 상황으로 보여집니다.


왜 딜레마인가 하면 외국인이 매도 포지션을 취하고 있는 상황에서 함께 매도 포지션으로 전환할 경우 시장은 그야 말로 추풍 낙옆이 될 가능 성이 있기 때문이지요.


외국인의 경우는 시장이 추가 하락하는 것을 염두에 두고 있다는 것은 이미 글로벌시장의 불안요인으로 누구나 알고 있는 사실 일 것입니다.


하지만 필자는 국내 지정학적 리스크에 대한 외국인의 시각을 묻지 않을 수 없습니다.


향후 진행 상황이야 알 수 없으나 지금까지 결과를 종합해보면 시장의 바닥은 아직 확신하기 어렵지 싶습니다.


참고가 되셧으면 하는 바램으로 ...

 

 

 

012345678910111213141516171819